반응형

1. 정의주의의 의미.  emotivism. 情意主義. 이모티비즘

 -정의주의란? emotive 감정을 자극하는> emotivism 정서주의, 정의주의 감정주의 등 다양하게 불림.

 情 뜻 정 意 뜻 의 主義 주의(어떤 방침이나 표준)

 -1923년 리첫즈와 오그든의 「의미의 의미」에서 시작

  에이어, 스티븐슨, 카르납 등 철학자들이 지지.

  어떤 판단에 대한 단어의 의미를 명확히 하는것을 분석하고자 하는 메타윤리학의 한 범주로써 본다. 1) 이런 메타윤리학적 특징에 따라 어떤 윤리적 도덕적 선택은 단지 감정이 표출되어 단어로 나타난 것 뿐이라는 주장이다. 아래 몇 가지 해설을 발췌하였다.

 

 윤리,도적적 판단들은 참도 아니고 거짓도 아니며 단지 그것을 언명하는 사람들의 감정을 표현한 것뿐이며 그것을 듣는 사람들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판단. 과학적 판단으로 환원될 수 없는 것.2)

 

 도덕적 판단은 과학적 절차에 의해서 참이라고 확증되거나 거짓이라고 입증될 수 없다. 감정에 관한 것이다. 단순히 사람의 '느낌'을 표출한 것 뿐이다.

  ex) 밥을 먹은 후 즐겁다고 끅 트림하는것과 같이 만족스러움을 표현하는 하나의 느낌. 감정을 표현한 도덕적 판단을 참이나 거짓으로 말할 수 없다. (이 트림을 참 거짓으로 말할 수 없다)3)

      '도둑질은 나쁘다'='도둑질, 으악!'4)

네가 사람을 죽인 것은 잘못이다= 너는 사람을 죽였다

 

 가치 판단의 객관적 정당화는 불가능하며 모든 가치판단은 결국 '나는 좋아한다', '나는 싫어한다'라는 자의적인 발언에 불과한 것이다. 윤리나 도덕적 충돌을 해결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감정이며 의욕이지 이성은 아니다. 나의 선호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므로 '네 말이 맞다', '네 기호가 틀렸다'라고 말할 수 없다.4)

 

더 나아가 스티븐슨은 이것이 옳다/나쁘다 라는 진술은 나는 이것에 동의한다/반대한다 그러므로 당신도 그렇게 하라/하지마라 라는 어떤 태도의 변경을 요구한다고 보았다.( ) C.L스티븐슨의 이모티비즘에 관한 연구 p. 15)

 

-정의주의의 비판?

1. 도덕적 가치판단의 부인, 논증을 거부하는 극단적인 경향, 그리고 감정의 의의에 관한 과장된 주장.5)

2. 이모티비즘에 따르다보면 도덕적 무정부상태가 된다. 나는 그때그때의 느낌이나 욕망, 기호 등에 따라 사람을 살해하거나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약자를 도울까? 정의냐 부정의이냐에 대한 선택의 고민이 과연 짜장면이냐 짬뽕이냐같은 기호의 선택과 동등할까? 히틀러의 유태인 학살은? 등 윤리적 고민 부재 & 기분이 좋으냐 나쁘냐의 차원이 아닌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는 전혀 다른 고민이다.좋아하는 것은 호 불호의 정의적 가치임에 비해, 옳은 것은 의무에서 생기는 합리적, 인지적, 집단적, 사회적 가치이다. 6)

3. 정의주의는 하나의 주장이나 가설에 불과한 듯 보인다. 검증이나 증거제시가 어렵다.

 

2. 문화인류학. anthropology.

문화인류학이란?

여기서의 문화인류학은 기()술적 윤리학의 한 범주로써 설명.

 

 윤리학은 이론윤리학과 기술윤리학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중 기술윤리학은 여러 문화권에서 지켜지고 있는 규범들을 발견하고 소개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기술윤리학은 엄밀하게 이야기한다면 윤리학이라고 하기보다는 문화인류학으로 분류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반면에 이론윤리학은 기술윤리학과 달리 특정한 지역이나 시대에 국한되지 않는 일반적인 행위 규범에 대해 연구하고 그러한 행위 규범을 조직적으로 체계화하는것을 임무로 삼는다.

 

 보통 자연인류학과 대치되는 용어로서 넓은 뜻으로는 선사적 고고학(先史的考古學), 인류학적 언어학, 민족학(民族學) ·민속학 ·민족지(民族誌) 등 여러 분야가 포함되지만, 좁은 뜻으로는 사회인류학과 민족학의 두 분야를 가리킨다. 인류가 걸어온 역사와 현존의 인류에 의한 각종 소산(所産)을 대상으로 문화를 관찰 ·분석하고 그것을 종합하여 문화의 법칙성 또는 규칙성과 변이(變異)를 탐구하는 과학이다. 문화인류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미국의 경우이며, 영국에서는 그와 같은 내용을 사회인류학, 독일 ·오스트리아 그 밖의 유럽 여러 나라에서는 민족학이라고 부른다.

 방법론으로는 문화진화론 ·문화전파론 ·문화사론(文化史論) ·문화영역론 ·문학통합형태론 ·문화기능론 ·문화와 인격론 ·문화구조론 등이 있다. 문화인류학의 학문적 맹아(萌芽)는 이미 18세기 후반의 프랑스 계몽사상 중에 나타나며, 19세기에는 그 이론의 기초가 세워졌다. 연구대상은 주로 미개한 문화와 그것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이지만, 최근에는 근대사회의 복잡 ·고도한 문화를 담당하는 사람들도 다루고 있으며, 역사적인 문화와 현재의 모든 문화가 그 대상이 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미개한 문화에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문헌 기록에 의거하지 않고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현지조사, 즉 유적과 유물들의 발굴 등이 불가결하며, 필연적으로 갖가지 이질적(異質的) 문화를 취급해야 하므로 비교연구가 매우 중요시된다. 7)

 

이것을 재 해석하여, 윤리에 있어서 문화인류학은 '어떤 행위에 대해 이곳에서는 이런식으로 받아들이고 저곳에서는 저런식으로 받아들이며 또 다른 행위에 대해서도 역시 서로서로 다르거나 같게 받아들인다' 와 같은 문장처럼 어떠한 가치판단이나 도덕적 가늠 없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여 기()술 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 다원주의( pluralism 多元主義 )와 윤리적 다원주의( ethical pluralism)

-다원주의의 의미?

다양한 원인을 인정한다는 의미로 해석. 발생한 문제나 현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인정할 수 있다.

다원주의는 단일단 기준에 따라 실제적인 차이를(그것이 문화든 사회현상이든 정치현상이든) 무시하거나 억업하거나 지배하는것에 반발하여 이러한 차이들이 최소한 이상으로 고려될 수는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사회, 문화적으로 우리와 다른, 또는 옳지 못하다 여겨지던 행동양식이 그들 문화나 민족에서는 인정되는 경우-> 그들에게 있는 그것을 인정한다. 그리고 가치의 정도를 정할 수 없다. 때문에 그것들은 경쟁이나 갈등의 대상이 아니다.(옷 입는 법, 관습에 의한 법률, 예술 등)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삶의 목적이나 이상적인 것, 평등, 행복등등의 개념은 한 개가 아니라는 것.

 

아래 다원주의 의미를 발췌하였다.

 개인이나 집단이 저마다 갖고 있는 가치관·이념, 또는 추구하는 목표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입장, 또는 그것을 전제로 하여 사회현상을 파악하고 설명하는 입장. 다원주의라는 개념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 어렵다. 철학적으로는 '둘 이상의 근본적인 실재(實在) 또는 원리를 세워 그로부터 세계를 설명하려는 입장'이라 정의할 수 있고, 정치학적으로는 '국민은 누구나 국가 존립을 위태롭게 하지 않는 한 사상·언론·집회·결사 등의 자유를 허용하는 체제'를 다원주의라 말할 수 있다. 또 사회학적으로는 개인 또는 집단들이 갖는 가치관·이념, 추구하는 목표 등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사회현상을 설명하려는 입장이라 말할 수 있다. 다원주의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하며, 개인의 안전·이익·행복에 최고의 가치를 둔다는 점이다. 바꾸어 말해서 다원주의는 국가권력의 절대성을 부정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8)

 

 현대사회에 들어서는 다원주의라는 것은 무조건 반대할수는 없는 개념이 되었음.

종교적 다양성 인정,

 

-윤리적 다원주의?

 다원주의는 여러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에서 언급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윤리, 도덕의 문제에 있어서 다원주의를 이해하고자 함.

 도덕이론이나 윤리적인 선택 앞에서 어떤 선택이 더 가치가 있는가 하는 것은 선택의 당사자의 이해관계나 상황에 따른다.

 궁극적인 삶의 목적, 인간에 대한 이상적인 행동양식이나 모습 등을 단 한가지로 규정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가치판단이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일원론적 윤리관과는 차이.

 

 다원주의 윤리학은 근본적으로 동의 또는 상호주관성을 바탕으로 서로 이질적인 인생관이나 가치관을 갖는 이들 모두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보편적 규범의 확립을 목표하고 있다.9)

 

  ->,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공통되는 가치를(모두에게 좋은 것) 찾고자 하는 것이며 이런 보편적 규범의 확립에는 '공평하고 중립적인 지점에서 이루어진 판단이나 합의'10)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상대주의와 차이점이라 본다)

 

-문제점

 만약에 윤리적 다원주의의 궁극적 목표인 보편적 규범의 확립의 경우, '공평하고 중립적인 지점에서의 판단이나 합의'가 불가능 한 경우가 발생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현실적으로 공평하고 중립적인 지점에서의 판단이나 합의가 되는 경우가 없다.

 가치들이 충돌할 경우 그 해결을 개인적인 사고의 위치에서 벗어나 더 보편적이고 몰개인적인 관점으로 나가 발견되는 상위원칙을 통해 모색한다.

이 경우 여러 경우를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하는 '다원주의'라는 카테고리를 벗어나 어떤 규범적 기준에서 볼 수밖에 없을 듯 하다 (이러한 개인적인 사고의 위치에서 벗어난 더 보편적이고 몰개인적인 관점이 어떤 것인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 분석철학(meta,그 넘어의 것)-> 그것에서 이모티비즘이 나온다)

 

또는

 그것은 정의와는 무관한 것으로써 각자의 가치관의 기초 위에서 행위 할 자유를 각자에게 남겨둔다. 11) (신앙, 임신중절 등)

 하지만 이것이 다른 가치와 부딪히게 되어 어떤 정의와 관련될 경우 판단을 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사회,문화에 있어서 다양성을 모두 인정할 수는 없는 것이 사실. ->다원주의의 한계

 (종교, 정치적으로 우리의 눈으로 바라본 저들의 인권문제) 그리고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없다면 윤리문제에 있어서 다원주의는 제국주의적 현상의 근거가 될 수 있다.12)



1) C.L스티븐슨의 이모티비즘에 관한 연구 p.3 안동대 교육대학원 박천국

2) 윤리란 무엇인가:주제와 역사, p.229, 철학과 현실사

3) 같은 책, p.231

4) CL스티븐슨의 이모티비즘에 관한 연구,p5

4) 윤리상대주의 p.145, 정인화, 관동대 인문과학연구소. 2011.1.31

5) CL스티븐슨의 이모티비즘에 관한 연구, p.57

6) 윤리상대주의, p.145

7) 문화인류학 [文化人類學, cultural anthropology ] | 네이버 백과사전

8) 다원주의ㅣ네이버 지식사전, 사회과학 > 행정

9) 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p.49, 한국철학회, 철학과 현실사

10) 같은 책, p.50

11) 같은 책, p50

12) 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국회도서관 전자자료 p.15, 2002 한국철학회 세미나자료

반응형

'이론 그리고 > 글 3.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불평등  (0) 2019.06.08
칸트 윤리학  (0) 2019.06.08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이론과 윤리  (0) 2017.12.28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0) 2017.12.19
교육관, 및 방향에 관한 의견  (0) 2013.05.21
Posted by 모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