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니코마코스 윤리학

저자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출판사
| 2011-10-15 출간
카테고리
인문
책소개
2,300년을 이어온 서양 윤리 사상의 정수! 아리스토텔레스가 ...
가격비교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을 니코마코스가 정리한 것이다. 책의 1부의 핵심은 ''은 무엇인가에 대한 풀이이다.

 ''에 대한 개념, ''이란 모든 것이 목표로 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모든 활동은 선한 것을 추구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 ''에는 여러 가지 ''이 있는데 그 '' 이외에 자존적이며 모든 선을 선이게 하는 '궁극적인 선'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의 범주 안에 또 다른 ''이 있다고 하는데 그 말은 ''에도 등급을 메길 수 있다는 의미이다. (어떤 이데아같은 하나의 ''이 아닌 '인간적인 선'을 말하는 것으로 보면 좋겠다.)

 그런 ''을 연구하는 학문은 '정치학'이다. 정치학의 목적은 지식에 있지 않고 실천에 있다. 정치학은 가장 으뜸이 되는 '기술'의 범주에 속하는데, 왜냐하면 학문이나 교육의 정도를 정치가 결정하기 때문이다. (잘 결정하게끔 하는 기술)

 위에서 말한 그 정치란 것을 공부하는 정치학도가 되기 위해서는 충족해야 할 요건이 있다. 그것은 분별 있는 연령이야 한다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안 그런 사람보다 다방면의 교육을 두루 받아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본 듯 하다. 정치학은 인간을 어떤 일정한 성격선한 인간, 고귀한 행위를 할 수 있는 사람)을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인다.

 위에서 선을 탐구할 수단으로 정치학을 이야기했다. 그러면 이제 정치학에서 탐구하려는 그 ''에 대해 다시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본다. '' '행복'이다. 그렇다면 그 '행복'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행복'이 무엇인지 잘은 모르더라도 확실한 것은 그 '행복'을 알기 위해서는 좋은 교육이나 정치학적 이해가 필요하며 그렇기 위해서 먼저 해당 사람이 좋은 습관 속에서 자랐어야만 한다. '행복'은 소나 말, 소년에게는 있을 수 없다. 태생적 한계나 연령 때문이다. '행복'은 온전한 ''과 생애 전체를 통하여 비로소 성취되는 것이다.

 다시 돌아와서, '행복'이라 했던 그 '', 일반적인 사람은 그걸 '쾌락'과 동일시한다. 그 동일시를 '향락적 생활'이라고 본다. 그 외 알아야 할 생활은 '정치적 생활', '관조적 생활'이다. 이어서 대체로 교양 있고 실천적인 사람들 중에 '명예 목적의 정치적 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명예'''이며 '행복'이라고 본다. 더하여 '명예'보다 더 나은 것이 앞에서 말한 ''이기에 덕이 정치생활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그 덕은 인간적인 덕이다. (선도 인간적인 선이고 행복도 인간적인 선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칭찬받을 만한 정신상태를 ''이라고 부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데아'를 부정한다. 학문은 여러 분야가 있기 때문이라는 그의 말을 생각해보면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이르러야 할 영역의 목적이 하나라면 행동해야 할 '' 역시 하나이지만 그렇지 않다. 인간이 하는 행동, 일이나 영역은 다양하므로 행동해야 할 '' 역시 다양하다. '' '인간세상 내에서만 해당하는 것'인 듯하고, 다양하다.

                                                              -완성

          행복-목표            

  (좋은 습관)

  -바탕 

정치학-수단

 니코마코스 윤리학 2권의 주제는 ''이다. ''에는 교육에 의해 생기는 '지적인 덕'과 습관에 의해 생기는 '도덕적인 덕'이 있다. '도덕적인 덕'은 본성적인 게 아니다. 그리고 ''은 먼저 실천함으로써 얻게 된다. '기술'의 경우와 같다. 먼저 행함으로써 비로소 배워 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먼저 함'이라는 '행동'이 계속 반복될 수 있게끔 하는 '좋은 습관'이 중요하다. '행동'은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적당한 정도여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을 '중용'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또 만일 올바른 행동을 하고 절제 있는 행동을 하면 이미 올바르고 절제 있는 사람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문법을 엄수하는 사람이 문법가가 된다는 것에 비유를 했다.

 이제, ''이란? ''은 정신활동의 산물인데 정신활동의 산물에는 '정념', '능력', '성품' 이 세가지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은 이 세 가지 중 하나인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성품'의 범주에 넣었다. 우선 아리스토텔레스는 세 가지 태도를 들었다. '과도' , '부족', '중용'의 태도이다. 세 가지 태도는 서로 대립한다. [과도중용부족] 그때 ''의 상태는 '과도''부족'의 중간상태인 '중용'의 상태이다. (중용은 덕의 특징) 예를 들어 명예심이 과도하면 허영이고 부족하면 비굴이게 된다. 그래서 '중용'은 모든 일에 있어 바람직한 것이고 부족하거나 과한 상태는 비난 받아 마땅하다고 말한다. 결론적으로

         덕은, [(좋은 습관으로 길러진 '중용의 태도')를 바탕으로 한 실천

      (정신활동인)                    이런 성품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세상을 선한 사람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세상이며, 그리고 인간은 진짜 ''할 수 있다는 전제를 한듯하다. 선과 덕의 토대를 만드는 수단으로서의 '정치학'을 말한 것과, 인간의 모든 행위는 선한 것을 추구한다는 것에서 그렇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정치학'을 하는 사람들이 모두 선할 수는 없는 노릇이며, 만약에 수단으로서의 정치학이 삐뚤어졌다면 바로잡아야 마땅하지만 그러나 바로잡을 수 있을 만큼 사람들은 동조해주며, 기존 사람들은 받아들일지 모르겠으니, 생각해 보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은 무엇, 무엇의 개념, 의미만 이야기하고 이해시키려 하나 실제와는 동떨어진 느낌이 있다. (실천과 해결을 할 수 없는 윤리학) 정말 실질적으로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 앞에서 어떤 보편적인 척도를 내려주지는 못하는 공론에 그치는 생각인 것 같다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길게 쓴글(두번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흄의 도덕에 관하여  (0) 2014.02.04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본 윤리  (0) 2014.02.04
밀, 공리주의  (0) 2013.11.22
이언적의 태극논쟁  (0) 2013.11.22
인권은 우선된다 하지만  (0) 2013.11.20
Posted by 모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