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제는 새로운 형식의 국가교육과정이 필요하다.


 

 국가 중심의 교육과정이 교육 획일성의 주범은 아니며 제도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 획일성의 주범은 다름아닌 입시위주의 교육문화, 제도가 그것이다. 나의 방식대로 예를 들자면 단 한 개의 출구(목표)라는 것이 그것이다. 만약 출구를 여러 개를 두고, 현 시행하고 있는 교육에서 더할 것은 더하고 뺄 것은 빼 간추린 새로운 제 X차 교육과정에, 각 출구별 해당되는 개론적 교육을 추가, 제도적으로 시행하여 학생들의 출구선택과 자아형성에 촉진을 주면 다양화는 성공하리라 본다. 다양화의 개념... 이것이 내가 생각하는 다양화이다. 그러한 과정은 전부 국가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폐쇄적, 관료적, 중앙집권적 교육조직구조를 먼저 파괴해야 한다. 기존의 틀 안에서는 불가능할 것이다. 또 특별히,‘교육’의 영역에 있어서는 어떠한 자본주의, 신자본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원천 제거하고 일말의 여지도 없도록 봉쇄해야 한다. 역사와 지금이 보여주는 것처럼 그 이데올로기가 들어서는 순간 경쟁, 상과 하, 부와 빈, 승자와 패자, 이익과 손해 등 헤아릴 수 없는 이분법적 폐해가 나타난다. 국가와 사회를 발전, 유지하는데 있어서 그런 이데올로기를 배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겠지만 최소한 성숙하지 못한 시기, 무엇인가 받아들이기 위해 준비중인 시기이기 때문에 이 학교 교육 안에 있어서만큼은 절대적으로 순수하게 순수하고 바보처럼 유토피아를 추구하며 동시에 양날의 검을 쥐고 어느 쪽이라도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한다. 수용은 그 다음이다. 이런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학교교육 이후에도 피교육자는 기존의 폐해적 이데올로기, 행보를 답습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지속적인 신 교육으로 양성된 신세대, 세대교체를 통해 기존의 폐해적 기득권층을 교체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국가가 교육을 내려놓고 자연에로 맡겨버린다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것 같다. 첫 번째로, 사교육비의 증가다. 교육의 선택을 위해 학생들은 선택지를 찾아 돌아다녀야 하며 이는 사교육시장의 성장과 그 비중이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만약 교육이 자율화된다면, 반민족적 성향이나 반사회적인 성향이나 반민주적인 성향이나, 너무 한쪽에 극으로 치우친 극 진보, 극 보수의 성향과 같은, ‘이것 아니면 저것뿐인 교육이 성행할 가능성이 있다.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성장해가는 과정에 있는 학생들의 학교에서의 교육은 다양한 생각과 관점을 접하며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사고관을 형성해나가야 하는 그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런 과정이 자칫하면 순수교육의 목적이 아닌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세 번째, 공공성이나 평등의 이유에서이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거나 공공성을 잃어버린다면 그것이 이익집단이나 전문 정당(政黨)학교, 기업 부품공장과 다를것이 무엇인가. 네 번째, 만약 그런 교육을 통해 미성숙한 시기에 다양한 정념(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에 쉽게 노출되고 그것에 굳어버린 피교육자들이 양성되고 또 사회의 한 역할을 받게 된다면, 예전에 이야기 하였던 그 엇갈린 첫 단추를 바로잡을 기회를 또 다시 버리는 형국이며, 기득권층의 벌판을 다지는 형국이(불평등의 사회) 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미성숙한 시기에 받아들여진 생각이나 행동이 굳어지게 되면 그것을 재 수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이 외에 고교평준화에 대한 생각 : 편법을 원천 차단하도록 제도적 정비가 된 고교평준화 제도에는 찬성한다. 평준화는 교육의 획일화를 포함한 기존교육의 문제점과 관련하여서는 말하였듯이 인과성이 없는 듯 하다. 또는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 생각하며, 결론적으로 국가교육과정은 여전히 유의미하다고 생각한다. 지면상의 부족으로 인하여 이만 줄이며 마침..

반응형
Posted by 모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