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정리/교육자료'에 해당되는 글 16건

  1. 2013.06.06 한국 FTA현황 조사
  2. 2013.05.21 교육학개론, 문제
  3. 2013.05.09 제1 인터내셔널
  4. 2013.05.09 중1수학 문제은행-1차방정식
  5. 2013.05.01 엥겔스의 생애
  6. 2013.05.01 마르크스의 생애
반응형

fta 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을 말한다. 상품, 서비스, 투자, 정부조달 등에서 관세와 기타 무역장벽을 없애 체결국간 자유무역을 실현하도록 하는 협정이다. 관세철폐가 주요 사항이다. 참고하여 자유무역협정보다 더 강한 단계의 협정은 관세동맹(MERCOSUR), 공동시장(EEC,CACM,CCM,ANCOM), 완전경제통합(EU)이 있다. FTA의 내용은 어느 국가와, 어느 지역과 체결되었는가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일반적으로는 무역자유화, 관세인하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다. FTA의 효과로는 우리나라 상품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수출증대, 생산과 고용증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 경쟁국에 비해 먼저 FTA를 체결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한국의 FTA 현황을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첫째, 발효된 FTA, 둘째, 서명/타결된 FTA, 셋째, 협상중인 FTA, 넷째, 협상준비/검토중인 FTA이다. 발효된 FTA를 보자면 한-asean, -EFTA, -EU, -, -싱가포르, -인도, -칠레, -페루, 8 FTA. 서명/타결관 FTA로는 한-콜롬비아, -터키, 2 FTA. 협상중인 FTA로는 한-GCC, -뉴질랜드, -멕시코, -베트남, -인도네시아 CEPA, -, -캐나다, -호주, 8 FTA. 협상준비/검토중인 fta로는 한-mercosur, -sacu, -러시아 BEPA, -말레이시아, -몽글, -이스라엘, -, -중미, 한중일, 9 FTA.

 먼저 fta와는 성질은 같으나 이름이 다른 것이 있다. -인도CEPA, -인도네시아간의 CEPA, -러시아간 BEPA가 그것이다. 그리고 다소 생소한 국명이 있다. 또는 국가간 계약이 아닌 경우도 있으니, ASEAN, ,EFTA, EU, GCC, MERCOSUR, SACU 등이 그것이다. 이것들에 대해 설명하겠다. CEPA는 포괄적 경제협력 동반자 협정이라는 뜻으로, 영어로는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이다. 이는 상품 및 서비스의교역, 투자, 경제협력 등 경제관계 전반을 포관랗는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로서 실질적으로는 FTA와 동일한 성격을 갖는다. BEPA 2007, 2088년에 각각 있었던 한-러간 경제동반자 협정 공동연구그룹회의를 말한다. 영어로는 Bilateral Economic Partership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러시아간의 관세장벽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어서 특이한 점으로 개별 국가간 계약이 아닌것이 있는데, asean간의 fta이다. asean은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nation)의 약어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총 10개 회원국에 6억의 인구를 지닌 거대시장으로, 상호간 경제,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협력체게를 구축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역시 중요한 교역시장중 하나이다.

 EFTA1960년 관세동맹을 지향하는 유럽경제공동체(EEC)에 반대하여 7개 유럽국가 영국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오스트리아, 포르투칼이 독자적으로 FTA를 체결한 것이다. EFTA는 경제규모도 크고, 지역블록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FTA라고 한다. EU는 유럽연합으로,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경제권이다. 한미 FTA에 못지않은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시아국가가 EU와 맺은 최초의 FTA라고 전해진다.

 GCC는 페르사이만협력회의 또는 걸프 협력회의라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 6개 회원국으로, 회원국 상호간에 경제, 안전보장에 관한 활동을 하고 있다. 관세장벽, 여행제한 철폐, 공동시장 출범들을 하고 있다. 앞서 말했듯이 협상중인 상태다.  

 MERCOSUR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 중남미 4개 국이 출범시킨 공동시장이다. 1995 1월부터 지역 내 모든 관세를 철폐함으로서 자유무역지대가 완성됬다. fta에서 더 발전한 관세동맹에 해당한다고 한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와 함께 아메리카대륙을 대표하는 경제공동체다. 현재는 베네수엘라가 가입하여 총 5개국이 참여한다.

 SACU south African Customs union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보츠나와, 나미비아, 레소토, 스와질랜드 등 5개 국으로 구성된 남아프리카 관세동맹이다. 우리나라와는 08년에 경제협력을 위한 민간공동연구 개시 합의를 한것이 전부이다.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탑수학 답지  (0) 2013.09.22
한국의 입학사정관제도 설명  (0) 2013.06.06
교육학개론, 문제  (0) 2013.05.21
제1 인터내셔널  (0) 2013.05.09
중1수학 문제은행-1차방정식  (0) 2013.05.09
Posted by 모순성
,
반응형

1.교육이란? 교육의 의미는?

교육은 가르치고 배우는 일을 말한다. 선생님의 가르침과 학생의 배움을 함께 일컫는다. 이를 영어로 설명하면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다른 시각으로,

최봉영 , 갈라서 구분하는것. , 선생이 이것과 저것을 잘 구분하여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을 의미.

 

2. 안드라고지와 페다고지의 차이점을 설명?

 안드라고지는 교수보다 학습에 초점을 둔 개념이고(학습자중심의 수평적 능동적 교육체계),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자기관리를 강조하고 있다.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배욱 익히는 이 안드라고지의 필요성이 급속히 대두된다. 교육기간 전 생애. 교육공간은 모든 삶의 영역. -> 학교의 폐쇄성 극복, 교육가능성 상승,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 교육은 학교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교육은 교사의 가르침에만 의존하는것이 아니다.

 페다고지는 교사중심의 수직적 교육체계이다.

 

3. 교육사와 교육철학의 의미

 교육사는 교육과 관계된 사건과 사상이나 인간삶을 역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며 반성의 대상으로 삼는 학문분야다. 하여 교육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교육환경이 어떻게 변했고, 이 가운데 교육이 어떤 변화를 했으며, 그 장단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육철학은 교육과 관계된 인간삶을 철학적 반성의 대상으로 삼는 학문분야다.  교육학 용어의 개념을 명료하게 정립하는 미시적 작업에서부터, 교육학 이론논리전개의 타당성을 강화시키는 영역까지 담당, 교육실천가들이 자신의 일상적 교육활동에 대하여 반성을 안내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교육사와 교육철학의 공통점 : 인간삶은 반성한다는 측면. 차이점 : 반성의 기반이 역사와 철학이라는 점.

 결론적으로 이들을 배우는 목적 : 과거에 근거하여 현재를 반성하고, 바람직한 미래를 예견하며 계획하는데 있다. 과거를 교훈삼아서, 현대 우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내는 작업. 교육에 대한 밝고 넒은 안목을 형성하는 것.

 

4.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학교에서의 공식적인 교육과정은 아니지만 학생들이 학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배우는 교육과정을 말한다. 학교교육에서는 교과서를 통하여 가르치려는 교육내용만 교육이 이루어지는것은 아니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없는 내용도 자기가 속한 지역사회, 학교, 동아리 등에서 배운다. 어떤 경우에는 훨씬 더 많은 훌륭한 지식을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배우게 된다.

 

5. 신화의 의미는?

 신화는 신들이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라 사람들에 의해 이야기가 형성되고 전래되어 내려오면서 구성된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 민족의 세계관이 반영된다. 하여 신화는 그 민족의 의식구조이고, 사고방식이며, 삶을 나타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도로 상징화된다.

6. 단군신화의 내용과 의미표상 4가지를 서술하시오

 1): 환인의 아들인 환웅이 인간세상에 내려오느 ㄴ내용 -> 농경문화, 천상계의 삶보다는 지상계의 삶을 소중히 하고 잇음.

 2): 웅녀의 탄생 ->인내. 참을성.

 3): 단군이 탄생하는 부분. -> 인간의 천상적인 요소와 지상적인 요소를 함께 지니고 태어남. 조화

 4): 조선의 건국과 단군이 산신이 되는 이야기. 대략적인 나이 약 1908.

 

7. 고조선과 삼국시대 이전의 교육은 어떠한가?

 고조선의 구체적인 교육의 모습은 8조금법에 의해서 짐작할 수 있다. 9조금법 중 오늘날까지 내용이 전해오는것은 세 가지다. 1. 살인자는 즉시 사형, 2. 타인의 신체 상해를 가한자는 곡물로 보상, 3남의 물건을 도둑질하면 그 소유자의 노비가 되어야하지만 배상하려고 한다면 50만전을 내놓아야한다. 

 

8. 단군이 죽은것이 아니라 산신이 되었는데, 이는 저승과 이승의 관계가 서로 동떠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있음을 말한다-> 이는 한국고유사상인 선가(仙家)의 기초다. 우리민족에게 선이 된다는 것은 단군이 산신이 된 것처럼 인간으로서 최고 인격을 확립한다는 의미다. 살아서 홍익인간하는 사람다운 삶을 실현한 사람의 인격은 위리와 함께 영원히 빛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9. 홍익인간을 할 수 있는 방법적 원리는?

 단군신화를 통하여 네 가지로 이야기해볼수있다.

  1) 자발성이 원리.

  2) 지성의 원리. 지속성

  3) 인고의 원리. 고통의 견딤

  4) 각성의 원리. 깨달음.

 

10. 고구려교육 설명하시오.

고구려는 3국가운데 가장먼저 중국문화와 접촉했다.  고구려의 관학으로는 태학이 있다. 귀족자제들을 교육하는 곳이다. 그리고 경당이라는 평민을 위한 교육제도가 있었다. 경당은 지방의 교육기관으로 추측되며 귀족뿐만 아니라 평민도 포함되어있었던것같다. 그리고 이때는 문무일치의교육이 이루어졌다.

 

11. 백제의 교육을 설명하시오.

백제는 교육기관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다. 하지만 일찍 중국과 직접교역을 했기때문에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추측. 박사제도가 있어 전문적인 공부를 했다고 알 수 있다. 뛰어난 자제를 당나라의 국학에 유학보내거나 일본에 박사를 파견한 기록이 있어 상당한 수준의 교육은 이루어졌을것으로 짐작한다.

 

12. 신라의 교육에 대해 설명하시오.

 신라는 중국문물을 가장 늦게 받아들여 신라고유의 풍속들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었다. 신라의 화랑도는 군사조직의 역할과 교육조직의 역할을 하였다. 화랑도 이전에는 인재등용을 의한 원화제도가 있었다. 효제충신을 가르쳤다.

 

13.화랑도의 교육목적인 신라의 세속오계는?

 화랑도교육이 국가적으로 인재양성하기 위한 교육목적을 가지고 있었따. "어진 재상과 충성스런 신하가 여기서 나오고, 뛰어난 장수와 용감한 군사가 여기에서 나왔다" 세속오계는 1. 사군이충 2.사친이효, 3. 교우이신, 4. 임전무퇴, 5. 살생유택이다. 내용적인 충면에서는 충, , , , 인 이 포함되었을것으로 추측된다.

 

 12. 화랑도에서 행해진 교육방법은?

 1. 모방에 의한 교육. 2. 집단적 방법의 교육. 3. 실제적 체험적 방법의 교육. 4. 감화의 방법.

 

13. 삼국통일 이후 신라교육을 설명하시오.

 신라의 새로운 교육기관인 국학설치.  국학은 당의 국자감을 모방하여 설치하엿다.

 인재등용방식으로서 독서삼품과 도입, 중국유학의 증가. 국학의 목적은 유교사상을 습득한 국가관료를 양성하는 것이다. 독서삼품과는 능력을 위주로 하여 시험에 의해 관리를 등용하는 장치가 되었으며, 무 중심에서 문 중심으로 등용법이 바뀌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계급의 한계도 있다.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입학사정관제도 설명  (0) 2013.06.06
한국 FTA현황 조사  (0) 2013.06.06
제1 인터내셔널  (0) 2013.05.09
중1수학 문제은행-1차방정식  (0) 2013.05.09
엥겔스의 생애  (0) 2013.05.01
Posted by 모순성
,
반응형

(으어어. 일어난 김에.)

 

제1 인터내셔널

<참고 자료>
* w.z. 포스터 지음, 편집부 옮김, 『세계사회주의 운동사 -제1,2,3 인터내셔널의 역사』 , 동녘출판, 1988
* "제1인터내셔널"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9j1873a>
[2013. 5. 1자 기사]
* 임석진 외 편저,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목차
1. 연표로 보는 제 2 인터내셔널 이전까지의 제 1 인터내셔널 활동
2. 제 1 인터내셔널의 소개

 

본문 내용
1. 연표로 보는 제 2 인터내셔널 이전까지의 제 1 인터내셔널 활동
 1.1. 제 1 인터내셔널(국제 노동자폅회)의 세계대회와 주요한 회의들..
1864년 런던협의회
1866년 제네바대회
1867년 로잔느대회
1868년 브뤼셀대회
1869년 바젤대회
1872년 헤이그대회
1876년 필라델피아대회
(해산).
 1.2. 무정부주의자 인터내셔널(국제노동자협회)
1872년 생 티미에대회
1873년 제네바대회
1874년 브뤼셀대회
1876년 베른대회
1877년 베르비에(벨기에)대회
1881년 런던대회
(소멸)
 1.3.중간기의 사회주의자 노동자회의
1877년 간대회
1881년 코아르대회
1883년, 1886년 파리대회
1888년 런던대회
(이후는 제 2인터내셔널) w.z. 포스터 지음, 편집부 옮김, 『세계사회주의 운동사 -제1,2,3 인터내셔널의 역사』 , 동녘출판, 1988


2. 제 1 인터내셔널의 소개
 2.1. 제 1 인터내셔널 공식 명칭
  공식 명은 국제노동자협회(International Workingmen's Association)다. 1864년 9월 28일 런던의 세인트 마틴 홀에서 '국제노동자연합'이라는 명칭으로 만들어졌으며,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내부적인 사상 차이에도 불구하고 통일적 노동 세력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창립자들은 당시 영국과 프랑스의 가장 강력한 노동조합 지도자들이었다. 그 중 그 지도적 중심인물은 마르크스였다. 카를 마르크스는 집회를 준비하는 데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32명의 임시 총회 위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고, 곧바로 총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2.2. 시대적 출현 배경
  당시에는 자본주의가 발전ㆍ확립됨과 함께 노동자 계급이 증가하고, 착취와 억압 중에서 생활과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노동자 조직이 각지에 생겨나 자본과 노동의 대립이 명확해진 시대였다. 그와 동시에 사회주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사회변혁에의 요구가 거세어져 각종의 사회주의 이론이나 집단이 출현하는 한편,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이론이 사람들 마음을 사로잡고 있던 시대였다. 이러한 노동운동, 사회주의 운동의 발전기에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걸친 노동자 계급의 최초의 국제적 대중 조직으로서 제1인터내셔널이 출현하게 된다. 


 창립선언과 규약에 명시된 원칙은 1)자본가에게만 부(富)가 축적되고 있는 데 반하여 노동자는 점점 궁핍화되어 가고 있다는 것, 2)노동자 계급의 해방은 노동자 자신의 손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되고, 3)노동자의 전국적ㆍ국제적 단결이 필요하다는 것, 4)노동자 계급의 투쟁은 모든 계급 지배의 철폐를 목적으로 하며, 5)경제적 해방과 정치투쟁을 통일시키는 것 등이다. 


 제1인터내셔널은 그 투쟁과정을 통하여 많은 중요한 문제에 관한 토의나 결의가 이루어졌는데, 그 중에는 노동시간의 단축ㆍ부녀자 및 청소년 노동자 문제ㆍ노동조합이나 협동조합 또는 국제적 신용기관의 설립ㆍ전쟁과 민족문제ㆍ노동자의 정치권력ㆍ당(黨) 등등의 문제가 있었다.

 

 2.3. 제 1 인터내셔널 조직구성과 운영
  제 1 인터내셔널은 고도로 중앙집권적인 당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기본적으로는 개별회원으로 구성되었는데, 개별회원들은 전국연합에 통합되어 있는 여러 지방단체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의 노동조합과 조직은 단체별로 제 1 인터내셔널에 가입하기도 했다. 제 1 인터내셔널의 최고기관은 대회(Congress)였으며, 대회는 매년 다른 도시에서 소집되어 원칙과 정책을 공식화했다. 대회에서 선출된 총회는 런던에 있으면서 집행위원회 역할을 담당했는데, 그것은 각 국가연합에 담당 서기를 임명하고, 각국과 파업을 지원하기 위해 모금을 하고, 인터내셔널의 일반적인 목적들을 추진했다.

 

 2.4. 제 1 인터내셔널의 초기의 분파적 모습
  처음부터 제1인터내셔널은 사회주의 사상의 여러 유파의 대립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제1인터내셔널의 사상적 경향은 마르크스주의, 단지 자본주의에 대한 개혁만을 주장한 프루동주의, 급진적인 방법과 전면적인 혁명을 주장한 블랑키주의, 이탈리아·스페인·프랑스-스위스 인터내셔널 연합의 지도 이념으로 작용한 바쿠닌의 무정부주의 등이 뒤섞인 양상을 보였다. 


 제1인터내셔널은 1872년 헤이그 대회에서 마르크스의 중앙집권적인 사회주의와 바쿠닌의 무정부주의가 충돌함으로써 분열되었다. 바쿠닌주의자들의 제1인터내셔널 장악을 방지하기 위해 마르크스의 암시를 받은 총회는 본부를 뉴욕 시로 이전하고, 1876년 7월 필라델피아 회의에서 총회가 정식으로 해체될 때까지 뉴욕에 머물렀다. 


 1873~77년 바쿠닌주의자들은 인터내셔널의 주도권을 장악하고 연례적으로 인터내셔널 대회를 개최했다.
 1877년의 헨트 사회주의자 세계대회에서 사회민주주의자들은 제1인터내셔널의 통일을 회복하자는 그들의 제의가 다수파인 무정부주의자들에 의해 거부되자 결별을 선언했다. 그러나 무정부주의자들은 제1인터내셔널을 소생시킬 수 없었으며, 1881년 무정부주의자들이 개체한 런던 대회가 폐회된 후 제1인터내셔널은 더이상 조직적인 노동운동을 대표하지 못했다. 처음부터 제1인터내셔널은 독일·오스트리아·프랑스·스페인 등의 나라에서는 보호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럽의 국가들이 협력하여 제1인터내셔널을 불법화하자는 프랑스와 독일의 제의는 무산되었는데, 그것은 영국이 런던에서 열리는 인터내셔널 총회에 대한 탄압을 주저했기 때문이었다. 제1인터내셔널이 수백만 명의 회원과 거의 무제한의 재력을 가진 무서운 세력이었다는 당시의 세평은 제1인터내셔널의 실세와 부합되지 않는 과대평가였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제1인터내셔널을 구성하고 있던 개인 회원은 아마 2만 명을 초과하지 않았을 것이다. 비록 제1인터내셔널이 파업을 주동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실제로 1868년 프랑스·벨기에·스위스를 휩쓴 연쇄파업을 조직하지는 않았다. 다만 그러한 파업에 대한 제1인터내셔널의 지지에 대한 풍문이 파업의 경로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뿐이다.

 

 2.5. 제 1 인터내셔널의 마르크스, 그리고 결말.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러한 투쟁과정에서 아직 역량이 미약한 각국의 노동자나 초기적인 운동 단계에 있는 각종 노동자 계급을 공동 행동으로 끌어들이면서 여러 비(非)과학적 사회주의를 비판, 극복하고 노동자 계급 속에 마르크스주의를 보급하고, 노동운동과 과학적 사회주의의 결합을 진전시켰다. 사회주의에는 각종 형태의 공상적 사회주의ㆍ급진적 부르주아 공화주의ㆍ우익 노동조합주의ㆍ프루동의 쁘띠 부르주아 사회주의ㆍ라살레의 국가사회주의, 또한 바쿠닌의 무정부주의 등이 있었다. 제1인터내셔널은 노동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의 출발시대에 그 역사적 임무를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는데, 파리코뮨(1871) 실패 후의 정세 하에서 1872년 9월 총평의회의 소재지를 미국의 뉴욕으로 옮길 것을 결정하고 1876년 7월에 해산되었다.

 

 

<참고 자료>
* w.z. 포스터 지음, 편집부 옮김, 『세계사회주의 운동사 -제1,2,3 인터내셔널의 역사』 , 동녘출판, 1988
* "제1인터내셔널"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http://preview.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19j1873a>
[2013. 5. 1자 기사]
* 임석진 외 편저,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FTA현황 조사  (0) 2013.06.06
교육학개론, 문제  (0) 2013.05.21
중1수학 문제은행-1차방정식  (0) 2013.05.09
엥겔스의 생애  (0) 2013.05.01
마르크스의 생애  (0) 2013.05.01
Posted by 모순성
,
반응형

 

3방정식 2일차방정식 고급.pdf

 

3방정식 2일차방정식 중급.pdf

 

3방정식 2일차방정식 초급.pdf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FTA현황 조사  (0) 2013.06.06
교육학개론, 문제  (0) 2013.05.21
제1 인터내셔널  (0) 2013.05.09
엥겔스의 생애  (0) 2013.05.01
마르크스의 생애  (0) 2013.05.01
Posted by 모순성
,
반응형

<흐름으로 보는 엥겔스의 생애와 대표 저작>

작성자 : 본인

<참고자료>
「철학사상」 별책 제 2권 제 11호 I 손철성 I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I 2003
「엥겔스 : 최초의 전기」 I 히루쉬, 헬무트 I 아침 I 1990
「엥겔스 평전 : 프록코트를 입은 공산주의자」 I Hunt,Tristram I 굴항아리 I 2010


엥겔스(Engels, Friedrich, 1820. 11. 28.~1895. 8. 5.)

 

목차
1. 엥겔스 소개와 후대 평가
2. 연도별 엥겔스의 생애

 

내용

1. 엥겔스 소개
 엥겔스는 19~ 20세기에 이르는 동안에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사상중의 하나인 마르크스주의를 마르크스와 함께 이론적으로 체계화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인물이며 또한 마르크스의 절친이자 사상적 동반자이기도 했다. 엥겔스에 대해서 「철학대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열성적인 혁명가요 천재적인 과학자인 엥겔스는 마르크스와 함께 마르크스주의 철학, 정치 경제학 및 과학적 공산주의 등 마르크스주의의 근본적인 구성 요소 및 일체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변증법적 유물론 및 역사적 유물론을 기초함으로써 인류의 철학적 사유에 일대 혁명을 일으켰다. 그는 마르크스주의 세계관의 발전에 기여한 점 이외에도, 변증법적 유물론 및 역사적 유물론을 적용하여 인간의 지식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다시 말해 역사, 특히 독일 인민의 역사, 군사 이론, 미학, 언어학, 문학 이론 및 자연 과학의 철학적 문제의 연구 등 다양한 지식 분야에서 탁월한 인식을 획득했다.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사망한 후, 「자본론」의 제2권과 제3권을 완성하여 출판하는 데 특히 큰 공을 세웠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편, 「철학대사전」, 860쪽)

 

 엥겔스는 마르크스와 함께 자연과 사회에 대한 철학 이론,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 자본주의의 운동방식과 그 문제점을 규명하는 정치 경제학 이론,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 방법과 관련된 과학적 사회주의 이론 등을 체계화하였다. 마르크스가 경제학 연구에 집중하였다면, 엥겔스는 자연 과학의 철학적 문제, 변증법적 유물론의 연구에 집중하였다. 또 엥겔스는 마르크스주의를 대중적으로 보급하는 데도 많은 힘을 쏟기도 하였다. 엥겔스는 이렇게 마르크스주의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이론가였을 뿐만 아니라 또한 노동 운동이나 사회 변혁 운동과 같은 실천적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던 혁명가이기도 하였다.

 

 2. 연도별 엥겔스의 생애
 엥겔스는 1820년 11월 28일  독일 라인란트주의 소도시 바르멘(Barmen)에서 태어났다. 엥겔스의 아버지는 공장을 운영하는 경영주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여유롭게 자랐다. 엥겔스는 엘버펠트(Elberfeld)에 있는 김나지움(Gymnasium)에 입학하였으며, 이때 ‘청년 독일’ 그룹에 가입하여 시사 평론을 쓰기도 하였다. 그는 베를린(Berlin)에서 군 복무를 하는 동안 철학 강의를 들으면서 헤겔(Hegel) 철학에 대한 적극적인 옹호자가 되었으며, 청년헤겔학파와 교류하면서부터 포이에르바하(Feuerbach)로부터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 당시에 엥겔스는 사상적으로 급진적 민주주의를 지지하였다. 


  1841년 9월에 엥겔스는 프로이센 군대 소집영장을 받아 1년간의 복무를 자원한다. 프로이센 포병 근위연대 12중대로 배속된다. 이 본부는 독일 수도 베를린에 있었다.


 1842년 엥겔스는 영국의 맨체스터(Manchester)로 이주했다. 여기서 엥겔스는 공장 노동자들의 비참한 생활을 경험하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영국의 노동 운동의 지도자들과도 사귀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엥겔스는 프롤레타리아트 혁명을 주장하는 공산주의자가 된다. 


 1844년에 그는 「독불 연보」에 발표한 「국민 경제학 비판 개요」에서 사회주의 관점에 입각하여 자본주의적 사적 소유의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중요한 사건으로 당해 년에 엥겔스는 파리(Paris)에서 마르크스와 만나게 되었는데, 이후에 두 사람은 평생 서로 협력하면서 공동 작업을 하는 사상적 동반자가 되었다. 엥겔스와 마르크스는 최초의 공동 작업으로 같은 해에 「신성 가족」을 썼는데, 이것은 브루노 바우어(Bruno Bauer)를 비롯한 청년헤겔학파의 관념론적견해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845년에는 「영국의노동 계급의 상태」라는 책을 출판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물질적 생산 활동이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 그리고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계급투쟁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프롤레타리아가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1845년에서 1846년에 걸쳐서 엥겔스와 마르크스는 공동으로 역사적 유물론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독일 이데올로기」를 저술하였다. 이 책은 ‘독일 이데올로기’ 즉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관념론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기존의 독일 철학이나 사상을 비판하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엥겔스와 마르크스는 포이에르바하를 비롯한 브루노 바우어(BrunoBauer),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와 같은 청년헤겔학파의 관념론적 견해를 비판하였으며 또한 칼 그륀(Karl Grun)이나 게오르그 쿨만(GeorgKuhlman)과 같은 이론가들이 내세우는 ‘진정한 사회주의’가 사회주의를 건설하기 위한 과학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엥겔스와 마르크스는 역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역사와 사회를 물질적인 생산 활동을 토대로 이해할 것을 주장하면서, 공산주의 혁명을 위한 물질적 조건이 자본주의 사회에 내재하며 나아가 이러한 혁명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주체가 되는 혁명적 방법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래서 이 책은 마르크스주의를 과학적 단계로 성숙시키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던 책으로 평가받기도 하는데, 그 동안 원고의 형태로 보관되다가 1932년에 소련에서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1845년부터 엥겔스는 실천적인 정치 활동에도 직접적으로 뛰어들어서 사회주의자들의 비밀 단체인 ‘의인 동맹’의 주도권을 마르크스와 함께 장악하였으며, 1847년에는 이 단체를 공개적 혁명 조직인 ‘공산주의자 동맹’으로 바꾸었다. 이때 엥겔스는 이 동맹의 강령 초안을 문답 형식으로 작성하였는데 이것이 「공산주의의 원리」이다. 1848년에 엥겔스와 마르크스는 이 초안을 바탕으로 이 동맹의 강령을 밝히는 「공산당 선언」을 썼다. “만국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Manifest 493쪽)는 유명한 문구로 끝을 맺고 있는 이 책은 프롤레타리아의 계급투쟁에 대한 분석과 함께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에 대한 비판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마르크스주의를 처음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장 많이 읽히는 공산주의 문헌이 되었다.


 1848년 프랑스를 비롯하여 유럽 각국에서 왕정에 대항하여 공화정을 세우려는 혁명이 일어나자 엥겔스는 마르크스와 함께 「신라인 신문」 등을 통해 노동자 계급과 공산주의 세력의 요구를 대변하였다. 엥겔스는 빌리히(Willich) 의용군의 부관이 되어 팔츠(Pfalz) 전투와 바덴(Baden) 전투에 직접 참여하기도 하였다. 


 1850년에서 1852년 사이에 엥겔스는 혁명의 경험을 다룬 「독일 농민 전쟁」과 「독일에서의 혁명과 반혁명」이라는 책을 썼다. 또 「뉴욕 데일리 트리뷴」에 기고한 글을 통해서 마르크스주의적 군사 이론가로서도 명성을 얻었다.
 1864년에는 ‘국제 노동자 협회’ 즉 ‘제 1 인터내셔날’이 출범하였는데, 엥겔스는 마르크스를 적극적으로 도우면서 이 협회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871년 프랑스에서 노동자들이 봉기하여 ‘꼬뮌’을 선포하자 그는 이 혁명을 지지하는 입장을 밝히기도 하였다.


 1876년에서 1878년 사이에 엥겔스는 그의 주요 저작인 「반 듀링론」을 저술하였다. 여기서 그는 듀링(Duhring)의 이론을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철학, 정치 경제학, 과학적 사회주의 이론 등 여러 분야에 걸쳐서 그 동안 마르크스주의 진영에서 이룩한 이론적 성과물을 총괄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 당시에 엥겔스는 자연 과학에 대한 연구에 몰두하여 자연의 변증법적 운동을 탐구하면서 「자연 변증법」을 쓰기 시작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유물론과 변증법 이론을 더욱 심화시키면서, 처음으로 유물론적 변증법의 세 가지 기본 법칙인 대립물의 통일과 투쟁법칙, 양질 전화의 법칙, 부정의 부정 법칙을 정식화하였다. 그러나 이 저술은 미완성인 채로 남겨져 있다가 1925년에 소련에서 출판되었다.


 1880년 엥겔스는 「반 듀링론」에서 세 개의 장을 뽑아서 「공상에서 과학으로 사회주의의 발전」이라는 책을 출판하였다. 이것은 사회주의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있는 책이다. 간결한 문체와 명료한 내용으로 인해서 그 당시에도 이미 여러 나라의 언어로 출판되었으며 나중에는 사회주의에 대한 대중적 입문서로 자리잡게 되었다. 


 1883년 마르크스가 사망한 이후, 엥겔스는 계속 활발하게 이론적 작업을 하였으며 1884년에 「가족, 사유 재산 및 국가의 기원」을 출판하였다. 그는 역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원시 부족 사회를 연구하여 원시 사회로부터 노예제로의 이행 과정을 해명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사유 재산의 형성과정을 토대로 하여 일부일처제의 가족 형태 및 계급과 국가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그 성격을 규명하였다.


 18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독일의 노동 운동을 비롯하여 유럽 각국과 미국 등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1888년에 엥겔스는 「포이에르바하와 독일 고전 철학의 종말」이라는 얇은 책을 썼는데, 여기서 엥겔스는 헤겔과 포이에르바하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마르크스주의 철학, 즉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의 핵심적 내용을 명료하게 정리하였다.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사망하자 아직 출판되지 않은 마르크스의 주요 저서인 「자본론」 제2권과 제3권을 정리하여 1885년과 1894년에 각각 출판해 주었다.


 1895년, 엥겔스는 거의 75세가 다 되어 가는 나이에 영국에서 삶을 마감했다. 엥겔스는 영원한 친구이자 사상적 동반자인 마르크스와 끝까지 우정과 신뢰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에 대한 정신적, 물질적인 성원을 아끼지 않았다. 사람들은 엥겔스가 없었다면 마르크스의 업적도 없었으리라 평가하기도 한다. 비록 엥겔스가 마르크스와의 공동 작업에서 자신은 단지 ‘제 2 바이올린’의 역할을 했을 뿐이라고 겸손하게 말하고 있다고 해서, 그리고 ‘마르크스주의’라는 명칭에서 드러나듯이 엥겔스의 이론적 성과가 마르크스의 명성에 의해 가려지고 있다고 해서, 마르크스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엥겔스의 독자적이면서도 중요한 역할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자료>
「철학사상」 별책 제 2권 제 11호 I 손철성 I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I 2003
「엥겔스 : 최초의 전기」 I 히루쉬, 헬무트 I 아침 I 1990
「엥겔스 평전 : 프록코트를 입은 공산주의자」 I Hunt,Tristram I 굴항아리 I 2010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FTA현황 조사  (0) 2013.06.06
교육학개론, 문제  (0) 2013.05.21
제1 인터내셔널  (0) 2013.05.09
중1수학 문제은행-1차방정식  (0) 2013.05.09
마르크스의 생애  (0) 2013.05.01
Posted by 모순성
,
반응형

 작성자 : 본인

 

목차

1. 연표로 보는 마르크스의 생애
2. 마르크스의 출생과 청소년기
3. 청년기의 마르크스
    4. 프랑스에서의 마르크스
    5. 프랑스에서의 마르크스

 

내용

1. 연표로 보는 마르크스의 생애
1818.5.5 독일 라인 지방의 트리에르에서 출생.
1835 본(Bonn) 대학에서 1년간 공부.
1836 베를린 대학으로 옮겨 .
1841 예나(Jena)에서 박사학위 취득
1842 “라인신문’에 논설들 게재
1843 제니(Jenny von Westphalen)와 결혼
파리로 이주하여 ‘헤겔 법철학 비판’, ‘유대인 문제’ 저술
1844 엥겔스와 만남
1845 벨기에로 이주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들’ 저술
1846 ‘독일 이데올로기’ 저술
1847 공산당 연맹(Commnuist League)에 가입
1848 ‘공산당선언’ 저술
신라인 신문 편집인 맡음 
1849 신라인 신문 폐간
‘임금노동과 자본’ 저술
      파리로 이주
1850 ‘프랑스의 계급투쟁’ 저술
1852 ‘루이 보나파르트의 무월 제 18일’ 저술
1857.8 ‘요강’ 저술
1859 ‘경제학 비평’ 저술
1862/3 ‘잉여가치설’ 저술
1863 모친 사망
1864 제1차 국제노동자협회 개회 연설
1865 ‘자본론’3권 저술
1867 ‘자본론’1권 저술
1869 앵겔스가 맨체스터에서 런던으로 이주
1871 파리 콤뮌에서 ‘프랑스내전’ 저술
1875 ‘고타 강령 비판’ 저술
1881 제니 사망
1883 마르크스 사망

 

2. 마르크스의 출생과 청소년기
마르크스는 사회적으로 유리한 기회를 얻기 위해 루터교를 받아들인 독일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기독교를 근본적으로 비난하는 사람들과 공부하며 대학생활을 보냈다. 마르크스의 출생지는 트리에르이다. 이곳은 독일 라인지방의 녹색 포도 재배지역에 있는 오래된 도시이다. 아버지 하인리히는 트리에르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마르크스는 아버지로부터 합리주의적 성향을 물려받았다고 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7살이 된 1835년의 마르크스는 트리에르를 떠나 본 대학의 법학부에 입학한다. 이후 1836년 베를린대학으로 옮겨간다. 베를린대학에서의 생활은 그의 생애에서 결정적인 분기점이 된다.

 

3. 청년기의 마르크스
 마르크스가 베를린 대학의 재학생이었을 1840년, 애국심과 민주주의 원칙과 군주제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주장한 돈 카를로스가 프로이센의 새로운 군주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추대된 이후 시간이 흘러도 이와 관련한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혁의 조짐이 보이면 불온 사상이라는 이유로 탄압되었다. 그리고 이 시기에 중산계급과 지주, 관리들에 대한 적대 감정이 철학을 통해 드러난다. 동시에 헤겔철학이 도처에 출현하였다. 이런 상황속에서 마르크스는 사비니의 법률학강의와 간스의 형법강의에 출석함으로써 법학부 학생으로써의 대학생활을 하고 있었다. 여러가지 이유에서 마르크스는 헤겔의 사상을 철저히 연구하기로 굳게 다짐하고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읽고 또 읽은 끝에, 마침내 헤겔주의자로 완전히 전향하기로 결심한다. 이후 마르크스는 법학을 완전히 포기하고 철학에 몰두한다. 1842년부터 ‘라인신문’에 정기적으로 기사를 기고해달라는 청탁을 받아 활동했으며, 10개월 후 라인신문의 편집장이 된다. 라인신문은 본래 온건자유주의적 입장이었으나 마르크스가 편집장이 된 후부터는 아주 빠르게 급진적, 반정부적으로 변했다. 그러나 결국 1943년 4월 라임신문은 갑작스레 폐간된다.

 

 4. 파리에서의 마르크스
 1943년 ‘라인신문’이 폐간 하는 등 독일에서의 급진좌파운동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자 마르크스는 파리로 이주하여 본격적으로 프랑스 사회주의자의 혁명적 집단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었는데, 이는 마르크스의 정치사상과 철학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프랑스에서 ‘독불연감’을 편찬, 여기에 『헤겔 법철학 비판』, 『유태인 문제』를 발표하고, 그의 경제학과 역사 및 공상적 사회주의에 대한 연구성과 위에 서서 프롤레타리아의 역사적 역할, 사회혁명의 필연성, 노동운동과 과학적 세계관의 결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또 이때 마르크스는 파리에서 엥겔스와 만나게 되는데, 이후 우정이 깊어져 활동을 같이 하게 된다. 이 두 사람은 계통적으로 새로운 세계관을 창조해 내며, 그 주요한 원리는 마르크스의 ‘경제학ㆍ철학 초고’, 엥겔스와 공저한 ‘신성가족’, ‘독일 이데올로기’, 그리고 마르크스의 ‘포이에르바하에 관한 테제’, ‘철학의 빈곤’ 등을 통해서 형성되었다. 


 5. 런던에서의 마르크스
 1849년에 마르크스는 몇 주 내지 몇 달만 머무를 생각으로 영국의 런던에 도착하나 그는 1883년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계속 그곳에 살게 되는데, 파리에서 급진적이고 정열적으로 활동한 마르크스를 기피하던 프랑스정부에 의해 추방되었기 때문이다. 고향 독일에서의 탄압이 심하였는데   더하여 탄압을 피해 이주해온 프랑스에서까지 추방당한 것이다. 영국에서 마르크스는 ‘독일 이데올로기’를 발표한다. 1848년 2월에는 ‘공산당 선언’을 발표한다. 1864년에 제1인터내셔널을 창립했다. 1883년 3월 14일 64세의 나이로 영면한다. 마르크스가 전 생애를 걸쳐 집필한 ‘자본론’은 마르크스가 생존해있던 1867년에 1권이 출판되고, 나머지 2권,3권,4권은 마르크스 영면 이후 마르크스의 영원한 절친이었던 엥겔스에 의해 편집되어 출판되었다.

 


<참고자료>
이사야 벌린, ‘칼 마르크스-그의 생애와 시대’(안규남 옮김), 미다북스, 2001
데이비드 리온, ‘마르크스의 생애와 사상평가’(박영호 옮김), 기독교문서선교회, 1987
위키피디아 인터넷 백과사전, ‘마르크스’

반응형

'카테고리 정리 >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FTA현황 조사  (0) 2013.06.06
교육학개론, 문제  (0) 2013.05.21
제1 인터내셔널  (0) 2013.05.09
중1수학 문제은행-1차방정식  (0) 2013.05.09
엥겔스의 생애  (0) 2013.05.01
Posted by 모순성
,